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뒤로 가기
뉴웨이즈 피드 로고
탐색페이지로 가기
메뉴 열고 닫기

2024년 총선 도전을 여기서 멈추게 되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2024.03.06
프로필 사진
황두영
2024 총선 도전 젊치인
안녕하세요. 서대문갑 예비후보 황두영입니다. 저의 이번 총선 도전은 여기서 멈추겠습니다. 부족한 저를 아끼고 지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서대문갑 청년전략경선에서 본 경선에 진입하지 못하고 컷오프 됐습니다. 청년전략경선이 혼란스럽게 진행되는 걸 보면서 '본 경선에 오르지 못할 가능성이 크겠다' 예상은 하고 있었습니다. 지역 주민을 만나 인지도와 지지도를 쌓는 데 모든 노력을 다 했는데, 당은 다른 조건을 갖추기를 바라는 듯 합니다.

그래도 빨리 입장을 밝히는 게 당을 위해서도, 저를 위해서도 좋을 것 같아 몇 자 올립니다. 저의 이번 총선 도전은 여기서 멈추겠습니다.

민주주의의 위기에 맞서 제가 가진 모든 걸 던져보겠단 마음으로 시작한 선거였습니다. 그것이 오랫동안 좋은 정치를 고민했고, 정치인들에게 더 엄격한 책임을 요구했고, 선배들에게 변화를 주장해 온 자의 책임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또 당에서 많은 기회를 얻으며 성장한 사람으로서의 도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필 제가 살아온 서대문에서 86세대의 리더이신 우상호 의원님이 불출마 선언을 하신 후 뭔가 계속 제겐 출마가 숙제 같았습니다. 자의식 과잉이지만요.

제가 낙천한 것보다는, 우리 정치가 점점 더 모래알처럼 나뉘고 부서지는 게 더 마음이 아픕니다. 정당정치는 사회적 다수를 모아내고, 민주주의는 함께 살아가는 법을 찾아가기 위해야 합니다. 가짜 뉴스를 섞어가며 각자의 차이만 부각하고, 서로가 서로를 조롱하는 재미만 남은 정당과 정치는 유지될 수 없습니다.

민주 세력 내부에서도 서로에 대한 금도가 무너지고, 우리 내의 작은 싸움에서 승리하는 것이 재미가 되어버리고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붕괴되는 것도 두렵습니다. 제가 살아온 민주당 생태계 자체가 무너지는 것 아닐까 공포스럽습니다.

정당과 정치세력은 그 안에 여러 이견이 질서 있게 공존하고 경쟁할 때 더 많은 시민을 포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의 구심력을 잃고 분열의 원심력만 작용할 때, 그걸 다시 구심력으로 전환할 리더십이 사라질 때, 떨어져나가는 건 정치인 각자가 아니라 유권자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회적 다수를 포용하는 정치세력이 되지 못 해 윤석열 정권을 막아서지 못하는 건 무엇보다도 큰 잘못입니다.

제 개인적으로도 어디까지 가 볼 수 있을지 도전하는 마음이었습니다. 사회적 다양성과 포용, 정치적 세계관의 교체, 생활동반자법과 차별금지법을 주장하는 후보도 충분히 민주당의 이름으로 당선될 수 있단 걸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지만 어디가 어떤 모습의 한계인지를 몸으로 부딪혀 배웠습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가진 모든 기회, 자원, 체력, 마음을 다 던졌기에 약간은 후련하기도 합니다. 다만 제가 더 나아가서 변화를 꼭 이뤄주길 바랬던 많은 분들의 기대와 도움에 응답하지 못해 정말로 죄송합니다. 정치라는 게 이렇게 다 돈으로, 몸으로, 마음으로 빚을 지는 일이란 걸 후보가 되어서야 진정으로 알았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빚을 갚는 마음으로 살겠습니다.

제가 너무 이번에 운이 없다, 저보다 더 안타까워 해주시는 분들이 많아 송구합니다. 하지만 우상호 의원님이 불출마하시며 청년에게 기회를 주어 마음껏 선거운동 해 볼 수 있었던 것도 제 운이었고, 이수진 의원님께서 양보해 주셔서 신인인데 여론조사 1등 후보를 해본 것도 제 행운이었습니다. 무엇보다 많은 지지자들, 동지들을 만나 사랑 받아볼 수 있는 모든 인연들이 저에게 무엇보다 값진 행운이었습니다.

때로는 몸과 마음이 믹서기에 갈리는 것 같이 고통스럽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종합적으로 보면 역시 도전해보길 잘했고, 후보란 건 꽤 행복한 놀음이었습니다. 누군가의 지지와 사랑을 확인하고 키워나가는 것, 후보가 되어보지 않으면 겪을 수 없는 경험입니다. 제 좌절이 많은 청년들과 후배들, 또 시민들의 용기를 꺾는 선례가 되지 않길 바랍니다.

부족한 저를 아끼고 지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매 순간 누가 당선되고 아니고를 넘어서 더 근원적인 정치적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은 더 깊이 고민할 때라고, 그런 기회를 주신 것이라고 받아들이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하고 죄송합니다.